이 포스트는 K-MOOC 숙명여대 여인권 교수님의 통계학의 이해 Ⅰ 강의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이제 우리가 다룰 확률변수가 2개 있다고 가정을 하고, 두 확률변수의 확률구조를 알아볼 것이다.
결합분포 (joint distribution)
두 개 이상의 확률변수들을 동시에 고려한 확률분포
확률변수 사이의 , 는 교집합을 의미
연속확률변수의 경우, 결합확률밀도함수 f(x, y)는 x, y에서의 밀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X와 Y가 균일분포라면 다음과 같이 결합확률밀도함수가 구해진다.
주변분포 (marginal distribution)
표본공간(Ω)이 사건 B1, ... , Bn으로 분할될 때 사건 A의 확률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산확률변수의 주변확률질량함수는 다음과 같다.
연속확률변수의 주변확률밀도함수는 다음과 같다.
앞에서 봤던 균일분포 예시를 통해 더 자세히 알아보자.
독립 확률변수
우리는 지난번에 사건 A와 B가 독립일 경우 P(AB) = P(A)P(B) 이라는 것을 알았다.
그렇다면 두 확률변수가 독립일 경우에는 어떻게 표현할까?
또한, 여러 확률변수가 서로 독립(상호독립)일 경우에는 어떻게 표현할까?
아래 그림을 통해 알아보자.
반응형
'MATH & STATS > STATIS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계학] 9-1. 주요 이산확률분포 - 베르누이 시행과 확률변수 (0) | 2020.03.07 |
---|---|
[통계학] 8-3. 확률벡터 - 공분산과 상관계수 (0) | 2020.03.07 |
[통계학] 8-1. 확률벡터 - 분산과 표준편차 (0) | 2020.03.07 |
[통계학] 7-4. 확률변수와 확률분포 - 확률변수의 기댓값 (0) | 2020.03.07 |
[통계학] 7-3. 확률변수와 확률분포 - 연속확률변수와 확률밀도함수 (0) | 2020.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