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계학] 14-2. 통계적 추론의 개요 - 검정통계량과 오류 이 포스트는 K-MOOC 숙명여대 여인권 교수님의 통계학의 이해 Ⅱ 강의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오늘은 귀무가설에서 표본이 얼마나 비정상적인지 보이는 방법인 검정통계량에 대해 알아보고, 가설검정을 통해 결론을 낼 때 나타나는 오류의 종류와 내용에 대해 배워보고자 한다. 검정통계량 (test statistic) 귀무가설에서 표본의 비정상성을 결정할 때 사용하는 통계량 더보기 통계량 : 미지의 모수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확률변수, 갖고 있는 확률표본들의 함수 → 확률분포 갖고 있음 → 확률적으로 판정하는 부분에서 사용 * 통계량이 무엇인지 헷갈린다면 더보기를 클릭하세요 * 앞으로 배울 검정통계량은 확률분포를 쉽게 유도할 수 있지만, 실제 분석에서는 알 수 없는 경우 많음 분포를 알고 있는 경우, 통계값이..
[통계학] 11-3. 정규분포 - 확률표본과 통계량 이 포스트는 K-MOOC 숙명여대 여인권 교수님의 통계학의 이해 Ⅰ 강의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통계학으로 가기 바로 전 단계인 확률표본과 이의 성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확률표본 (random sample) 확률표본이란 모집단에서 무작위로 선택된 관측값으로 서로 독립이고 동일한 분포를 가진다는 성질(independent and identically distributed, iid)을 만족해야 한다. 즉, 독립이고 동일한 분포를 따르는 것을 복원추출한 표본이다. 예를 들어 정규분포에서 추출한 경우 아래와 같은 형태로 표시한다. 이는 서로 독립이기 때문에 결합분포는 각 주변분포의 곱으로 나타낸다. 그러나 이는 동일한 분포를 따르기에 X_i에서 i값에 관계없이 동일한 확률질량(밀도)함수를 가진다.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