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학] 10-1. 주요 이산확률분포 - 포아송분포 이 포스트는 K-MOOC 숙명여대 여인권 교수님의 통계학의 이해 Ⅰ 강의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이번에는 어떤 사건의 발생건수 같은 계수자료(counting data)를 모델링할 때 많이 쓰이는 포아송분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포아송분포 (Poisson distribution) 이항분포 X~B(n,p)는 n이 커지면 계산할 때 n!이 무한대로 표시되어 어려움이 따르는데, 이를 해결해보고자 한다. 특히, p값이 매우 작으면, n에 비해 어느 정도 큰 x에 대한 확률은 무시할 정도로 작다. 이 때, E(X)=λ로 가정하고 n→∞일 때(n이 커질 때)의 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보자. 여기서 나온 f(x)의 정리된 식과 같은 구조의 확률질량함수를 가지는 것을 포아송분포라고 부른다. 즉, 발생가능성이 희박.. 이전 1 다음